본문 바로가기
20-30대가 알아야 할 금융 이야기

재테크를 알아보자 1) 저축형 재테크

by whan 2025. 3. 19.

저축

저축형 재테크는 원금을 안전하게 보존하면서 꾸준히 돈을 모으고 이자를 통해 자산을 불리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예,적금 / 청약통장 / 보험 / 연금 상품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재테크 초보자나 안정적인 금융 관리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방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재테크 알아보기 첫 시간으로 저축형 재테크의 개념과 종류,특징과 장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저축형 재테크란?

저축형 재테크는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저축하여 이자를 얻고, 자산을 안정적으로 증가시키는 금융 방법입니다. 위험성이 적고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저축형 재테크의 주요 특징

  • 원금 보장: 투자형 재테크(주식, 부동산 등)와 달리, 원금 손실 위험이 없음
  • 예측 가능한 수익: 정해진 금리와 조건에 따라 이자가 발생
  • 장기적 자산 관리 가능: 일정 기간 꾸준히 모으면 목돈 마련 가능
  • 비교적 낮은 수익률: 예,적금 금리가 낮아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움

저축형 재테크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이나 목돈 마련이 필요한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노후 대비를 원하는 중장년층한테 추천합니다.


2. 저축형 재테크의 종류

① 예금 & 적금

가장 기본적인 저축 방식으로, 정해진 금리를 적용받아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방식입니다.

1) 정기예금

  • 일정 금액을 한 번에 예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원금과 이자를 받는 방식
  • 금리(2024년 기준): 연 3~4% 수준
  • 예금자 보호: 5,000만 원까지 보호 가능
  • 추천 대상: 여유자금을 안전하게 불리고 싶은 사람

장점

  • 원금 보장 + 예측 가능한 수익
  •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특판 예금 활용 가능

단점

  • 중도 해지 시 금리가 낮아질 수 있음
  • 물가 상승 시 실질적인 이자 수익률이 낮아질 수 있음

2) 정기적금

  •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고,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받는 방식
  • 금리: 연 3~5% 수준 (예금보다 다소 높음)
  • 추천 대상: 종잣돈을 모으려는 사회초년생, 월급 생활자

장점

  • 소액으로 시작 가능
  • 꾸준한 저축 효과

단점

  • 중도 해지 시 적은 이자를 받거나 원금만 돌려받을 수 있음

💡 예금 vs 적금, 어느 것이 유리할까?

  • 일정 금액이 마련되어 있다면: 정기예금 (목돈 굴리기)
  • 월급에서 저축하는 방식이 좋다면: 정기적금

② 주택청약종합저축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면 필수적인 저축 상품입니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이란?

  • 국민주택 및 민영주택 청약 신청을 위한 필수 통장
  • 매월 일정 금액(2만 원~50만 원)을 납입 가능
  • 금리: 연 1.8%~3.3% 수준
  • 가입 대상: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가능

장점

  • 청약 가점제에서 유리 (가입 기간이 길수록 청약 당첨 확률 상승)
  • 세금 혜택 (연 240만 원 한도로 소득공제 가능)
  • 언제든 해지 가능 (일반 적금처럼 활용 가능)

단점

  • 예·적금보다 금리가 낮음
  • 부동산 시장 침체 시 활용 가치가 떨어질 수 있음

💡 추천 대상

  • 20~30대 청년층 (내 집 마련을 계획하고 있다면 필수)
  • 장기적으로 부동산 투자나 내 집 마련을 고려하는 사람

③ 연금저축 & IRP (개인퇴직연금)

노후 대비를 위한 저축 방법으로, 장기적인 재테크에 적합합니다.

1) 연금저축

  •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
  • 연간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 제공

장점

  • 장기 저축 시 복리 효과 가능
  • 세제 혜택이 커서 절세 효과 있음

단점

  • 중도 인출 시 높은 세금 부과
  • 운용 방식에 따라 원금 손실 위험 있음

2) IRP (개인형 퇴직연금)

  • 회사 퇴직금과 개인 자금을 함께 운용할 수 있는 연금 상품
  • 연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 제공

💡 추천 대상

  •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고 싶은 직장인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원하는 사람

④ 비과세 저축보험

일정 기간 납입 후 만기 시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는 보험 상품으로, 절세 효과가 뛰어납니다.

1) 저축성 보험 특징

  • 최소 10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
  • 이자소득세(15.4%) 면제

장점

  • 장기 유지 시 안정적인 수익 가능
  • 세제 혜택을 통한 절세 효과

단점

  • 중도 해지 시 원금 손실 가능
  • 단기 저축 목적이라면 적합하지 않음

💡 추천 대상

  • 세금을 아끼고 싶은 사람
  • 10년 이상 장기 저축이 가능한 사람

3. 저축형 재테크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점

  1. 금리 비교 후 가입하자
    • 시중은행 금리와 인터넷은행 금리를 비교하여 높은 상품을 선택
  2. 세금 혜택을 고려하자
    • 연금저축, IRP, 주택청약통장 등은 세제 혜택이 있으므로 적극 활용
  3. 목표에 따라 선택하자
    • 단기 자금: 예·적금 활용
    • 주택 마련: 청약통장
    • 노후 대비: 연금저축, IRP
  4. 예상치 못한 상황을 대비하라
    • 긴급 자금용 예금과 장기 투자용 적금을 나눠서 운용

결론

저축형 재테크는 원금 보장과 안정적인 수익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예,적금 / 청약통장 / 연금저축 / 보험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금융 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단기, 중기, 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지금부터라도 자신의 목표에 맞는 저축형 재테크를 시작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