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30대가 알아야 할 금융 이야기

내일채움공제 vs 청년재직자공제,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by whan 2025. 3. 17.

내일채움공제

정부는 중소기업 재직자들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내일채움공제’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입니다. 두 제도 모두 근로자와 기업이 공동으로 적립하는 방식이지만, 대상과 혜택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공제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내일채움공제란? 중소기업 근속자에게 유리한 제도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가 5년 동안 일정 금액을 적립하면, 기업과 정부가 함께 지원하여 만기 시 목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는 숙련 인력을 중소기업에 정착시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입 대상

-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정규직 근로자
- 기업 대표(사장) 및 임원은 가입 불가

적립 방식

- 근로자: 매월 20만 원 납입
- 기업: 매월 20만 원 이상 지원 (기업 부담)
- 정부 지원금 없음

만기 수령액

- 5년 후 근로자가 받게 되는 금액: 약 3,000만 원 이상 (적립금 + 이자 포함)
- 기업이 부담한 금액도 근로자가 수령 가능

장점

- 기업 부담금이 근로자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실질적인 목돈 마련 가능
- 적립금은 퇴직금과 별도로 지급
- 세제 혜택: 공제금 수령 시 이자소득세 감면

단점

- 중도 해지 시 근로자 적립금만 반환, 기업 부담금은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
- 기업이 참여를 원하지 않으면 가입이 어렵다
- 5년 동안 장기 근속해야만 혜택이 극대화됨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란? 청년을 위한 특별 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내일채움공제의 청년 특화 버전으로, 정부 지원금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가입 대상

-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청년 근로자 (만 15세~34세)
- 군필자의 경우 최대 39세까지 가입 가능
- 정규직 근로자만 가능 (계약직, 인턴 불가)

적립 방식

- 근로자: 매월 12만 원 납입
- 기업: 매월 20만 원 납입
- 정부: 매월 12만 원 지원

만기 수령액

- 5년 후 근로자가 받게 되는 금액: 3,000만 원 이상 (정부 지원 포함)

장점

- 정부 지원금(약 720만 원) 포함으로 부담이 적음
- 기업 부담금과 정부 지원금을 함께 받을 수 있어 실질적 혜택이 큼
- 목돈 마련과 함께 장기 근속 유도

단점

- 가입 연령이 제한적 (만 34세 이하)
- 5년간 근속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음
- 기업이 제도 운영에 동의해야만 가입 가능

내일채움공제 vs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비교

항목 내일채움공제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가입 대상 중소기업 재직자 (연령 제한 없음) 중소기업 재직 청년 (만 34세 이하)
근로자 납입금 매월 20만 원 매월 12만 원
기업 부담금 매월 20만 원 이상 매월 20만 원
정부 지원 없음 매월 12만 원
5년 후 수령액 약 3,000만 원+ 약 3,000만 원+ (정부 지원 포함)
세금 혜택 소득세 감면 소득세 감면

어떤 공제를 선택해야 할까?

1. 연령 기준 충족 여부

- 만 34세 이하라면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가 유리합니다.
- 35세 이상이라면 일반 내일채움공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2. 기업의 참여 의사 확인

- 두 공제 모두 기업 부담금이 포함되므로, 다니는 회사가 해당 공제에 가입할 의사가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3. 본인의 부담 능력

- 매월 12만 원만 부담할 수 있다면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가 적합합니다.
- 여유가 된다면 내일채움공제를 선택하여 더 많은 적립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내일채움공제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이 장기 근속을 유지하면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제도입니다.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정부 지원이 포함되어 있어 청년층에게 더 유리한 반면, 내일채움공제는 연령 제한 없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본인의 나이와 경제 상황, 기업의 참여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공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